-
치매를 예방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치매를 예방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방법이 아닐 수 있습니다. 치매와 당뇨의 관계를 통해서 치매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질병의 시작은 당뇨라고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은 치매라고 합니다. 그래서 치매와 당뇨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탄수화물과는 어떤 관계인지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서론
앞서 당뇨는 질병의 시작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갑자기 치매 얘기하는데 당뇨 얘기가 나오냐고 반문하실 수 있지만 지금부터 차근차근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치매는 두 가지 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 치매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혈관성치매는 뇌로 가는 혈류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며, 알츠하이머 치매는 일명 노인성 치매로 84세 이상 노령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치매를 말합니다.
만일 당뇨가 있는 분이라면 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 치매의 위험성은 각각 2배, 1.6배 증가된다고 합니다.
당뇨 질환을 앓고 계신 분이라면 고탄수화물은 혈당을 높여 인슐린 조절을 어렵게 하여 당뇨병을 악화시킵니다. 이 부분을 인지하시고 아래의 글을 차근차근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치매와 당뇨의 관계 1.
유전적으로 ApoE4의 유전자를 보유한 사람은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동양인은 서양인에 비해 이 유전자가 더 많습니다. apo지단백은 몸속에서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물질을 운반하는 운반체입니다.
이 운반체는 물에 녹지 않는 영양물질들을 가지고 인체의 여기저기에 보내주게 되는데 우리의 뇌 역시 이러한 물질을 공급받게 됩니다.
그런데 이게 왜 치매와 관련이 있냐면 ApoE4 유전자를 보유한 사람은 ApoE4가 ApoE2, ApoE3에 비해 뇌로 영양소를 전달 시 오류가 잘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오류가 일어나는 상황은 주로 고탄수화물 식이와 만났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만일 ApoE4 유전자를 지니고 있더라도 탄수화물을 잘 조절한다면 치매 발병률을 줄일 수가 있게 됩니다.
치매와 당뇨의 관계 2.
두 번째로 치매와 당뇨의 관계에서 인슐린의 저항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발생하면 포도당이 있어도 세포가 이를 이용할 수가 없습니다.
인슐린에 저항성이 없는 건강한 사람은 췌장에서 분비된 인슐린이 뇌로 잘 전달이 됩니다. 하지만 당뇨가 있는 분이라면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높을 확률이 있으므로 인슐린이 뇌로 잘 전달될 수가 없게 되어 치매 발병의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치매와 당뇨의 관계 3.
우리 몸은 사용하고 남은 인슐린을 분해하는 인슐린분해효소(IDE)를 분비합니다. 인슐린분해효소는 인슐린만 분해하는 것이 아니라 뇌세포 바깥 부분에 있는 베타아밀로이드를 분해하기도 합니다. 이는 두 장소를 청소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인슐린분해효소가 두 곳을 다 청소하려면 인슐린의 분비량을 줄여야 하므로 고탄수화물의 섭취는 피해야 할 것입니다. 결국 치매를 예방하는 것은 당뇨를 예방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며 고탄수화물을 피해야 한다는 점에서 동일합니다.
치매예방과 당뇨예방의 해결법
뇌는 매일 120g 정도의 포도당을 필요로 합니다. 치매는 갑자기 오지 않으며 발병 20~30년 전부터 뇌의 포도당 대사율이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원료를 공급받지 못하면 뇌세포는 신호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이즈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치매환자의 뇌가 축소되는 것도 이러한 이유입니다.
이러한 상황의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포도당을 대신하여 뇌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가 있으면 되는데 그것이 바로 '케톤'입니다.
케톤은 탄수화물 섭취량이 떨어져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물질인데 케톤은 인슐린 수치가 낮아진 상태에서만 분비가 됩니다. 인위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케톤을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방법은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결국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것이 당뇨와 치매를 관리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것입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은 동양인이며 치매 걸릴 확률 높은 유전자를 지니고 있지만 관리를 잘하면 이 또한 더욱 튼튼한 몸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쉽게! 면역력 높이기 프로젝트 영양제품 베스트 5 알아보기 (0) 2023.11.21 나도 모르게 입냄새가! 입냄새 원인과 입냄새 제거방법 알아보기 (0) 2023.11.21 어린이 쑥쑥 키 성장에 도움되는 영양제품 베스트 5 알아보기 (0) 2023.11.19 혈당 스파이크와 당뇨 무슨 관계에 일까요? (0) 2023.11.19 간 보호의 대명사! 밀크씨슬의 숨은 효과(효능) 알아보세요. (0) 2023.11.17